본문 바로가기

삑삑도요19

갈곡천 탐조, 흰목물떼새, 물총새, 원앙 그리고 준설공사폐해(20240701) 장소: 파주시 갈곡천관찰종: 흰목물떼새, 물총새, 원앙, 황조롱이, 참새, 박새, 붉은머리오목눈이, 쇠백로, 중백로, 중대백로, 검은댕기해오라기, 흰날개해오라기, 흰뺨검둥오리, 삑삑도요, 민물가마우지, 까치, 큰부리까마귀, 멧비둘기, 제비, 귀제비, 알락할미새 (21종) 오늘 갈곡천을 둘러보니 작년과 달라진 풍경에 가슴이 너무 아팠다. 지난 겨울 준설공사로 갈대밭을 모두 뒤엎은 구간들에 현재는 갈대들이 사라지고 단풍잎돼지풀과 가시박이라는 유해 외래종이 우세종을 점했다.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에 따르면 단풍잎돼지풀은 '초지나 도로변의 문제잡초로 화분병을 일으키기도 한다.'라고 기술되어 있고, '꽃가루를 흡수하면 알레르기성의 비염, 결막염, 기관지 천식 등의 화분병을 일으킨다. 최근에는 그 피해가 점차 늘어나.. 2024. 7. 1.
갈곡천 탐조, 종달도요, 황로, 중백로, 꼬마물떼새(20240426) 장소: 파주시 갈곡천관찰종: 종달도요(종추), 황로, 제비, 귀제비, 삑삑도요, 깝짝도요, 꼬마물떼새, 쇠백로, 중대백로, 중백로, 왜가리, 민물가마우지, 흰뺨검둥오리, 쇠오리, 원앙, 참새, 알락할미새, 검은턱할미새, 노랑할미새, 밭종다리, 찌르레기, 집비둘기, 멧비둘기, 꿩, 큰부리까마귀, 까치, 붉은머리오목눈이, 물총새, 직박구리,(29종) 2024. 4. 26.
갈곡천 탐조, 찌르레기, 알락도요, 물총새, 꺅도요(20240407) 장소: 파주시 갈곡천 관찰종: 제비, 찌르레기, 알락도요, 물총새, 꺅도요, 꼬마물떼새, 흰뺨검둥오리, 민물가마우지, 왜가리, 중대백로, 멧비둘기, 까치, 큰부리까마귀, 밭종다리, 알락할미새, 백할미새, 참새, 방울새, 원앙, 청둥오리(20종) 어제는 제비가 돌아왔고, 오늘은 겨우내 자취를 감췄던 물총새가 다시 나타났다. 그리고 어제까지 있던 쇠기러기들이 모두 떠났다. 겨울새들이 모두 떠났고, 여름새들이 속속 도착하고 있다. 곧 있으면 황로와 해오라기들도 모습을 드러낼 것 같아서 기대된다. 2024. 4. 7.
갈곡천 탐조, 매, 삑삑도요, 밭종다리, 새매(20240313) 장소: 파주시 갈곡천 관찰종: 밭종다리, 매, 새매, 황조롱이, 말똥가리, 까마귀, 까치, 쇠오리, 흰뺨검둥오리, 청둥오리, 비오리, 삑삑도요, 왜가리, 중대백로, 박새, 쇠박새, 직박구리, 되새, 방울새, 멧비둘기, 민물가마우지, 노랑지빠귀, 알락할미새, 쑥새, 알락할미새, 쇠기러기, 때까치(27종) 너무나 기분좋은 탐조였다. 예상치 못한 매도 만났고 평소보다 여러 종류의 새들도 만났고 말이다. 그러나 한편으로는 너무 짜증나고 불쾌한 순간들이 있었다. 갈곡천 주변에 무단으로 쓰레기를 버리고 간 사람들의 흔적과 갈곡천에 폐수가 배출되고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. 비록 갈곡천이 1급수는 아니지만 2-3급수를 유지하는 하천이라서 많지 않은 수량에도 다양한 수생식물과 수생생물이 서식해서 이를 먹이로 삼는 새.. 2024. 3. 13.
갈곡천 탐조, 꺅도요, 콩새, 멧새, 한국재갈매기(20240209) 장소: 파주시 갈곡천 관찰종: 꺅도요(종추), 콩새, 멧새, 딱새, 붉은머리오목눈이, 쇠박새, 박새, 참새, 까치, 멧비둘기, 큰부리까마귀, 황조롱이, 말똥가리, 한국재갈매기, 쇠기러기, 큰기러기, 삑삑도요, 흰뺨검둥오리, 비오리, 청둥오리, 왜가리, 중대백로, 논병아리, 알락할미새(24종) 2024. 2. 9.
갈곡천 탐조, 잿빛개구리매(20240105) 장소: 파주시 갈곡천 관찰종: 딱새, 잿빛개구리매, 말똥가리, 쇠오리, 청둥오리, 흰뺨검둥오리, 논병아리, 쇠백로, 중대백로, 민물가마우지, 삑삑도요, 비오리, 멧비둘기, 큰부리까마귀, 까치, 박새, 때까치, 알락할미새, 쇠기러기, 방울새(20종) 2024. 1. 5.